티스토리 뷰
반응형

가까운 친척이 돌아가셨을 때: 장례 절차와 예절 안내
사람의 삶과 죽음은 불가분의 관계입니다. 가까운 친척이 세상을 떠나면 유족들은 슬픔을 마주하며 장례를 준비해야 합니다. 전통적으로 한국의 장례 문화는 엄숙하고 절차를 중시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장례 절차와 조문 예절, 장례 후 절차 등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장례 절차
장례는 일반적으로 임종 → 수시 → 발상 → 호상 → 부고 → 염습 → 반함 → 입관 → 영좌 → 성복 → 하관 → 반혼의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각 단계별 절차를 살펴보겠습니다.
1.1 임종(臨終)
- 임종이 임박하면 환자를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히고, 조용한 환경을 조성합니다.
- 운명한 후에는 가족들이 함께하며 마지막 유언을 기록하거나 녹음할 수 있습니다.
1.2 수시(收屍)
- 고인의 눈을 감기고 몸을 정돈합니다.
- 시신이 굳기 전에 손발을 가지런히 정리하고 흰 천으로 덮습니다.
1.3 발상(發喪)
- 가족들은 검소한 옷으로 갈아입고 애도를 표합니다.
- 초상을 알리는 ‘상중(喪中)’ 또는 ‘기중(忌中)’ 표식을 대문에 부착합니다.
1.4 호상(護喪)
- 장례 경험이 있는 친척이나 지인을 호상으로 정해 장례 절차를 주관합니다.
1.5 부고(訃告)
- 상주와 가까운 친인척, 친지들에게 장례 일정을 알립니다.
1.6 염습(殮襲)
- 시신을 깨끗이 닦고 수의를 입힙니다.
- 남자는 남자 근친이, 여자는 여자 근친이 염습을 진행합니다.
1.7 반함(飯含)
- 고인의 입에 불린 쌀과 동전 혹은 구슬을 넣어 저승에서 쓸 식량과 재물을 마련하는 의미를 가집니다.
1.8 입관(入棺)
- 시신을 관에 모시고 흔들리지 않도록 정리합니다.
- 관 위에는 남자는 "직함·본관·성명", 여자는 "유인·본관·성씨"를 적은 명정을 씁니다.
1.9 영좌(靈座)
- 입관 후 고인의 사진을 모시고, 촛불을 켜고 분향합니다.
1.10 성복(成服)
- 상제들은 상복을 갖추어 입고 조문객의 문상을 받습니다.
1.11 하관(下棺)
- 묘지를 준비하고, 하관 후 명정을 덮고, 흙을 덮은 후 평토제를 진행합니다.
1.12 반혼(反魂)
- 장례 후 유골이나 신주를 모시고 집으로 돌아가 위령제를 올립니다.
2. 조문 예절
2.1 조문 시간
- 가까운 친척이 상을 당하면 가능한 한 빨리 찾아가 조문을 합니다.
- 가까운 사이가 아니라면 성복 후에 방문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2 조문 시 복장
남성 조문객
- 검정색 양복, 흰 와이셔츠, 검정 넥타이, 검정 양말과 구두 착용
- 감색이나 회색 정장도 가능하지만, 화려한 색상은 피해야 합니다.
여성 조문객
- 검정색 정장 또는 한복 착용
- 무늬 없는 검정 스타킹과 검정 구두 착용
- 장갑이나 핸드백도 검정색으로 통일
- 화려한 화장은 삼가는 것이 바람직함
2.3 조문 시 삼가야 할 행동
- 유족을 붙잡고 지나치게 말을 걸지 않는다.
- 반가운 사람을 만나도 큰 소리로 이야기하지 않는다.
- 고인의 사망 원인을 상세히 묻지 않는다.
2.4 조문 절차
- 외투는 대문 밖에서 벗는다.
- 상주에게 목례한다.
- 영정 앞에서 향을 피우고 분향한다.
- 두 손을 모아 절을 올린다.
- 상주에게 다시 절하고 위로의 말을 전한다.
2.5 조문 시 인사말 예시
부모가 돌아가신 경우
- "상사에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 "망극한 일을 당하셔서 어떻게 말씀드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배우자가 돌아가신 경우
- "위로할 말씀이 없습니다."
- "천붕지통(天崩之痛)에 슬픔이 크시겠습니다."
형제자매가 돌아가신 경우
- "백씨(伯氏) 상을 당하셔서 얼마나 비감하십니까."
- "할반지통(割半之痛)이 오죽하시겠습니까."
자녀가 돌아가신 경우
- "얼마나 상심하십니까."
- "참척(慘慽)을 보셔서 얼마나 마음이 아프십니까."
3. 장례 후 절차
3.1 조위금 전달
- 조의금 봉투에는 ‘부의(賻儀)’, ‘근조(謹弔)’, ‘조의(弔儀)’ 등의 문구를 적습니다.
- 조의금 봉투 안에는 단자(부조 내용을 적은 종이)를 넣습니다.
3.2 탈상(脫喪)
- 49일제 또는 100일제 이후 상복을 벗고 일상으로 돌아가는 의식을 합니다.
3.3 기제사(忌祭祀)
- 고인의 기일마다 제사를 지내며 추모합니다.
4. 종교별 장례 절차
4.1 불교식 장례
- 임종 시 염불을 올립니다.
- 다비식(茶毘式)으로 화장을 선호합니다.
- 사홍서원(四弘誓願) 등의 불교 의식을 진행합니다.
4.2 기독교식 장례
- 임종 예배를 드립니다.
- 곡을 하지 않고 절도 하지 않습니다.
- 영결식과 하관식을 진행하며, 분향 대신 헌화를 합니다.
4.3 천주교식 장례
- 종부성사(病者聖事)를 진행합니다.
- 연미사를 드리며, 성수와 촛불을 사용합니다.
5. 마무리
장례는 고인을 보내는 마지막 의식인 만큼 엄숙하게 진행되어야 합니다. 유족들에게는 따뜻한 위로와 배려가 필요하며, 조문객 또한 예의를 갖추어야 합니다. 한국의 장례 문화는 지역과 가정마다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인 절차와 예절을 숙지하면 장례를 보다 원활하게 준비할 수 있습니다.
장을 치르는 과정은 어렵고 힘들지만, 고인을 존경하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차분하게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멜론
- 대학원
- 명언
- 독서
- 교육
- 팝차트
- 교과연구회
- 미술
- 아이들
- 2008년
- 코렐
- 수업활용
- 가요차트
- 아인슈타인
- 동영상
- 시간관리
- RCY
- 멜론차트
- 마인드맵
- 장기자랑
- 수업자료
- 프로그램
- ChatGPT
- 파이선
- 사진
- 참고작품
- 자기계발
- 명상
- 자기주도학습
- 유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